네트워크

암호화

대칭키와 비대칭키 방식의 암호화

정답 보기
  • 대칭키 암호화 (Symmetric Encryption)

    • 하나의 동일한 키로 암호화복호화를 모두 수행합니다.
    • 송신자와 수신자가 같은 비밀키를 공유해야 합니다.
    • 장점: 빠른 속도, 대량 데이터 암호화에 적합
    • 단점: 키 분배 문제 존재
    • 대표 알고리즘: AES, DES(구식), 3DES 등
  • 비대칭키 암호화 (Asymmetric Encryption)

    • 공개키개인키 두 개의 키 쌍을 사용합니다.
    • 공개키로 암호화 → 개인키로만 복호화
      개인키로 암호화 → 공개키로만 복호화 (전자서명에 활용)
    • 장점: 키 분배 문제 해결, 인증/전자서명 가능
    • 단점: 연산 속도가 느림
    • 대표 알고리즘: RSA, ECC, DSA 등

HTTP와 HTTPS의 차이

정답 보기
  • HTTP (HyperText Transfer Protocol)

    • 데이터를 암호화하지 않고 평문으로 전송합니다.
    • 중간에서 패킷을 가로채면 누구나 내용을 볼 수 있음 → 보안 취약
  • HTTPS (HTTP Secure)

    • HTTP에 TLS/SSL 암호화 계층을 더한 프로토콜입니다.
    • 서버는 신뢰할 수 있는 기관(CA)에서 발급받은 인증서를 클라이언트에 제시합니다.
    • 혼합 방식 암호화를 사용합니다:
      1. 비대칭키로 세션 키(대칭키)를 안전하게 교환
      2. 이후 실제 데이터 통신은 빠른 대칭키 암호화(AES 등)로 진행
    • 장점: 데이터 도청/위·변조 방지, 서버 신뢰성 확보
    • 즉, HTTPS는 “비대칭키는 키 교환, 대칭키는 본문 암호화”를 위해 두 방식을 혼합합니다.